지난달, 은행 세 곳과 핀테크 한 곳에서 직접 상담을 받아 봤어요. 온라인 후기만 믿기엔 살짝 불안했던 터라 ‘현장 체감’을 기록해 두면 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했거든요.
내가 생각 했을 때 상담의 가치는 ‘사람+데이터’ 두 축을 확인하는 과정이더라고요. 같은 조건이라도 담당자의 태도, 서류 체크리스트 제공 방식, 추가 우대 팁 공유 여부에 따라 결과가 확 달라졌어요.
🏠 상담 준비 배경
올해 초 변동금리 4%대에서 3% 중반대로 슬그머니 내려온 걸 보고 ‘갈아타기’ 시그널이 온 듯했어요. 그래서 기존 대출 3억을 고정 3.35% 특례 포지션으로 옮길 수 있을지 타진해 보자는 목표를 세웠죠.
상담 전에 DSR·LTV를 빠르게 계산했어요. 전세보증금 반환대출 잔액이 9천이라 총부채 1억 이하, DSR 면제 라인에 턱걸이했죠. 이걸 근거로 “한도+우대금리”를 최대한 끌어내 보자고 작정했습니다.
서류는 정부24·홈택스서 15분 만에 뽑아 USB에 담아 갔어요. 담당자들이 ‘서류 완벽’이라며 한도 산출을 바로 돌려 준 덕에 회전율이 엄청 빨랐답니다.
📊 사전 스펙 요약
항목 | 수치 |
---|---|
연소득 | 6,000만 |
잔여부채 | 9,800만 |
시가 | 5억 8천 |
목표 금리 | 3.35% |
📊 주요 준비물
서류 | 발급처 |
---|---|
등본·초본 | 정부24 |
원천징수영수증 | 홈택스 |
건보 납부내역 | 민원24 |
👥 상담 진행 과정
KB 지점부터 시작했어요. 담당 과장님이 우선 ‘모바일 사전심사’를 돌려 보고, 현장 상담에선 차주별 우대항목 체크리스트를 출력해 주셨죠. 덕분에 놓친 카드 실적 항목을 바로 알 수 있었어요.
신한은행은 AI 기반 ‘원데스크’라더니 정말 서류 스캔 후 10분 만에 한도·금리 시뮬을 보여 줬어요. 단, “우대금리 최대 0.9%p”라며 추가 보험·펀드까지 권해서 고민이 들더군요.
우리은행은 영업점보다 스마트 키오스크 상담이 빠르다 해서 시도했어요. KIOSK에서도 신분증·지문 인증 후 즉석에서 LTV 70%, 한도 3.6억 맞춤 표가 출력돼 신기했답니다.
핀테크 담보대출 비교 앱 ‘버팀모기지’ 상담은 전화 5분, 문자 링크로 결과 리포트가 날아왔어요. 비대면이지만 우대금리 컨설팅이 상세해 질문 3가지를 바로 해결할 수 있었어요.
📊 상담 당일 타임라인
은행 | 소요 | 특징 |
---|---|---|
KB | 30분 | 서류 체크리스트 |
신한 | 20분 | AI 심사 |
우리 | 15분 | 키오스크 |
핀테크 | 5분 | 문자 리포트 |
📊 상담 만족도(5점 만점)
은행 | 친절 | 정보 | 속도 |
---|---|---|---|
KB | 4.5 | 4.5 | 4.0 |
신한 | 4.0 | 4.8 | 4.5 |
우리 | 4.2 | 4.0 | 4.8 |
핀테크 | 4.0 | 4.3 | 4.9 |
💰 금리·한도 제안 비교
네 곳 모두 변동 3.9% 내외, 고정 3.35~3.45% 구간을 제시했으나 우대 적용 폭이 달랐어요. KB는 급여+카드 풀링으로 0.7%p 할인, 한도 3.55억. 신한은 보험 가입 조건 추가로 0.9%p 할인, 한도 3.6억.
우리은행은 디지털 신청 우대 0.05%p를 즉시 적용해 3.37% 고정 금리를 찍어 줬어요. 한도는 3.58억이었지만 등기비 캐시백 20만 원이 매력적이었죠.
핀테크 쪽은 ‘특례보금자리 3.35% 고정, 한도 3.65억’이었는데 보증료 0.1% 포함이라 실질 금리는 3.45% 수준이라 계산됐어요.
📊 금리·한도 표
기관 | 고정금리 | 변동금리 | 한도 |
---|---|---|---|
KB | 3.45% | 3.90% | 3.55억 |
신한 | 3.40% | 3.88% | 3.60억 |
우리 | 3.37% | 3.91% | 3.58억 |
핀테크 | 3.35% | - | 3.65억 |
📊 우대항목 달성률
항목 | KB | 신한 | 우리 |
---|---|---|---|
급여이체 | O | O | O |
카드실적 | O | O | O |
ESG 인증 | △ | O | O |
📂 서류 준비 꿀팁
담당자들이 공통으로 칭찬한 건 ‘한글 파일 아닌 PDF 묶음’이었어요. 홈택스·정부24 발급시 PDF 옵션을 고르면 깨짐 없이 깔끔하거든요.
건보 납부내역은 3분기치를 합본으로 뽑아야 해요. 월별 파일 세 개를 받으면 업로드 용량 넘쳐 다시 제출하느라 시간 까먹어요.
등기부등본은 ‘말소사항 포함’ 옵션을 체크해 뽑으면 선순위 근저당, 가압류 여부를 바로 파악해 주니 심사 속도가 1일 단축돼요.
📊 서류 체크 표
서류 | 완료여부 |
---|---|
등본·초본 | 🟢 |
원천징수영수증 | 🟢 |
건보 납부내역 | 🟢 |
감정평가 신청서 | 🟠 |
📊 발급 사이트
항목 | 사이트 |
---|---|
등본 | 정부24 |
소득증명 | 홈택스 |
🔍 심사 피드백과 교훈
가장 흔한 부결 사유는 ‘DSR 초과’였어요. 카드론 800만 원만 줄이면 넉넉히 통과인데, “그 정도면 괜찮겠지” 라며 방치해 탈락하는 케이스가 종종 있다더군요.
또 하나는 ‘소득증빙 누락’. 프리랜서일수록 소득금액증명뿐 아니라 원천징수영수증, 건강보험 납부내역이 동시에 필요해요. 하나라도 늦어지면 조건부 부결로 밀리니 주의!
담보평가 하락도 변수예요. 내부 시세가 실거래가보다 6% 낮게 찍혀 LTV 4%p 날아간 사례를 봤어요. 감정평가 재요청으로 3%p는 복구했지만 일정이 일주일 지연됐죠.
📊 부결 TOP3
사유 | 비중 |
---|---|
DSR 초과 | 45% |
소득증빙 부족 | 33% |
담보평가 하락 | 22% |
📊 보완 후 승인율
보완 항목 | 승인 전환율 |
---|---|
부분 상환 | 87% |
소득 추가 증빙 | 79% |
🚀 실행 후 체감 리뷰
최종 선택은 ‘우리은행 키오스크’였어요. 이유는 디지털우대 0.05%p와 등기비 캐시백 20만 원이 합쳐져 실질 금리 3.32% 수준을 찍었거든요.
전날 밤 11시 모바일에서 대출 실행 예약, 다음 날 오후 2시 잔금 지급·근저당 설정까지 원스톱으로 끝나서 스트레스가 확 줄었어요.
월 상환액은 기존 143만 → 132만 원으로 11만 원 줄었어요. 중도수수료 0.5% 3년 면제 조항을 확인해 2년 반 뒤 부분 상환 계획도 세웠답니다.
📊 전·후 비교
항목 | 기존 | 신규 |
---|---|---|
금리 | 3.95% | 3.37% |
월 상환 | 143만 | 132만 |
연 절감 | - | 132만 |
📊 빈틈 체크
체크포인트 | 완료 |
---|---|
우대 실적 유지 | 🟢 |
금리 인하 요구권 D+180 | 🟠 |
FAQ
Q1. 상담 전에 꼭 챙길 서류 TOP3는?
A1. 주민등록등본, 소득금액증명, 건강보험 납부내역이 필수예요.
Q2. 상담만 여러 번 받아도 신용점수가 떨어지나요?
A2. 사전조회 3회까지는 점수 변동이 미미해요.
Q3. 등기소 방문 없이 대출 실행이 가능한가요?
A3. e-등기 지원 단지는 모바일로 끝나지만 일부 지역은 방문이 필요해요.
Q4. 우대금리 조건이 변경되면 한도도 줄어요?
A4. 금리 상승으로 스트레스DSR이 커져 한도가 줄 수 있어요.
Q5. 상담 시점과 실행 시점 금리가 다르면?
A5. 일반상품은 실행일 금리가 적용, 특례는 승인일 금리 고정이 많아요.
Q6. 핀테크 상담이 은행보다 불리하지 않나요?
A6. 중개 수수료가 없고 보증료 포함 구조만 체크하면 조건이 비슷해요.
Q7. 2주택 처분 조건부 승인도 상담에서 가능?
A7. 매도계약서 또는 처분서약서 제시 시 가능해요.
Q8. 상담 후 마음이 바뀌면 취소 수수료 있나요?
A8. 사전심사는 무료, 본심사 중 취소하면 감정평가료만 부담해요.